예언자 무함마드 (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시대의 여성
이슬람에서는, 사회 생활에서 여성과 남성은 공존해 왔다. 이것의 가장 좋은 본보기를 예언자 무함마드(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께서 메디나에서 만드신 문명 사회에서 볼 수 있다. 움무 쿨숨 빈트 우끄바, 카울라 빈트 살라바 등 많은 여성들은 사회에서 지위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꾸란에서도 그분들의 이름이 언급되기도 했다.
움무 쿨숨 빈트 우끄바는, 알라의 예언자인 무함마드(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께 메카에서 충성의 맹세(베이아)를 했고 믿음을 위해 혼자 이주(히즈라)한 여성이다. 메디나에 갔을 때 후다비야 협정에 따라 메카로 인도될 것을 알게 되어 걱정했으나 꾸란의 뭄타히나 장 10 구절이 계시되자 메디나에 남을 수 있게 되었으며 꾸란에서 칭찬을 받은 사람 중 하나가 되었다.
"믿는 자들이여! 믿음을 가진 여성이 너희에게 이주하여 올 때 그녀들을 시험하라 하나님은 그녀들의 믿음을 온전히 알고 계시니라 그 때 너희가 그녀들이 믿는 자들임을 발견했다면 그녀들을 불신자들에게로 보내지 말라..."
꾸란에서 칭찬을 받고 본보기로 보여준 여성 중 또 다른 여성은 카울라 빈트 살라바이다. 살라바는 남편에게 당한 부정적은 행동에 대해 예언자 무함마드(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께 끊임 없이 질문을 했기 때문에 꾸란의 어떤 구절의 계시의 주제가 되었다 "하나님은 그녀의 남편에 관하여 그대에게 변론하고 하나님께 호소한 그녀의 진술을 수락하사. 하나님께서 쌍방 간의 진술을 듣고 계시나니 실로 하나님은 모든 것을 들으시고 모든 것을 지켜보고 계시니라." (무자달라 장, 58/1)
꾸란의 주제가 된 여성 사하바(교우)들 외에 예언자 무함마드(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 시대에 지식(일름=ilm)에서 무역까지 삶의 모든 분야에서 적극 참여한 여성들을 보면 이슬람의 여성 이해를 알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은 사회에서 함께 공존해야 하고 남녀 사이의 한계(프라이버시)의 원칙과 한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꾸란에서 순결의 가장 휼륭한 예로 예언자 유수프(요셉)가 언급된다. 그의 이 모범은 순결의 감각이 여성뿐만 아니라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필요하다는 징후이다.
수세기 동안, 핫즈(성지순례)를 수행하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믿는 모든 사람들이 싸이 의무를 수행할 때 하녀 하자르(하갈)는 아들인 이스마일(이스마엘)을 위해 물을 찾으면서 싸파와 마르와 사이에서 뛴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 상황은 우리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 우리의 성별이 아니라 우리의 행동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아흐잡 장의 35 구절은 이것을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실로 무슬림 남녀에게 믿음이 있는 남녀에게, 순종하는 남녀에게, 진실한 남녀와 인내하는 남녀에게, 두려워하는 남녀와 자선을 베푸는 남녀에게, 단식을 행하는 남녀와 정조를 지키는 남녀에게, 하나님을 염원하는 남녀에게 하나님은 관용과 크나큰 보상을 준비하셨노라."